본문 바로가기

다양한 TIP241

구글 API 사용시 에러(이 페이지를 볼 권한이 없습니다) 구글 API로 서비스 계정을 생성했는데 실행시 403 에러와 함께 권한 오류(PERMISSION ERROR)가 뜬다면 참고하길 바란다. url 로드 중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다음 필수 권한 중 하나 이상이 없습니다. 프로젝트 resourcemanager.projects.get serviceusage.services.get 프로젝트 ID가 유효하고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세요. 만약 이렇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해보길 바란다. API 서비스의 대시보드에 들어가면 API 및 서비스 사용 설정이 있다. 나는 구글스프레드 시트를 사용하기 위해 API 서비스를 이용했기 때문에 아래 두개를 눌러 "사용"으로 활성화시킨다. 잘 접속됨을 확인해볼 수 있겠다. 2020. 10. 18.
Python file open read error(f.readline()UnicodeDecodeError) python에서 파일을 읽을 때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올 때가 있다. line = f.readline() UnicodeDecodeError: 'cp949' codec can't decode byte 0xec in position 515: illegal multibyte sequence 원인은 파일을 읽을 때 코덱이 맞지 않아서이다. 기본적으로 python3는 ANSI를 기준으로 작성된 파일을 읽는다. 따라서, UTF-8로 작성된 파일을 읽으려고 할 때 일반적인 open(filename, 'r') 을 사용한다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.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이 encoding='utf-8' 을 추가한다. with open('test.html', 'r', encoding='utf8') as f: .. 2020. 10. 18.
vimrc map Ctrl + w 저장방법 vim을 사용하다보면 Ctrl + w (두번)을 이용하여 혹은 화살표를 이용하여 분할창을 이동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. 컨트롤 두번 누르는거 대신 단축키로 넘기는 방법을 설명한다. map ^W^W 위의 설정을 .vimrc에 추가한다. 하나씩 설명하면, map으로 mapping을 한다는 의미로 단축키는 F2이다. 그 뒤에 ^W^W는 F2를 눌렀을 때 실행되는 키들이다. 그렇다면 ^W를 어떻게 입력하는가? Ctrl+v를 누른 다음 Ctrl+w를 누르면 입력이 된다. 같이 Ctrl만의 키는 매핑되는게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. 2019. 11. 29.
Ubuntu 설치 후 apt-get update 실패시 확인할 것 우분투 서버용을 설치해보았다. ubuntu-18.04.3-live-server-amd64 처음 설치시 ssh 설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apt-get update 후 apt-get install ssh를 하려고 했다. 하지만 아래와 같이 설치 실패.. 원인은 바로 nameserver에 있었다. /etc/resolv.conf 파일에 아래와 같이 nameserver를 추가한 후 재시도 하면 된다. nameserver 8.8.8.8 (구글) 다른 네임서버를 알고 있거나 설정해서 사용한다면, 해당 네임서버를 등록하면 된다. 2019. 11. 18.
반응형